DB/AWS

[AWS] 기초+PostgreSQL 환경 세팅

chantant sous la pluie 2025. 5. 22.

AWS (Amazon Web Services)

  • 아마존이 만든 클라우딩 컴퓨팅 서비스 플랫폼
  • 물리 서버 없어도 서버, 데이터베이스, 스토리지 등의 인프라를 빌려주는 서비스
  • 대표 서비스
    • EC2 : 가상 서버 (리눅스, 윈도우 등)
    • RDS  : 데이터베이스 서비스
    • S3 : 파일 저장소
    • Lambda : 서버 없이 코드 실행 (서버리스)
    • CloudWatch : 모니터링

 

AWS RDS (Relational Database Service)

  • AWS가 운영해주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
  • 특징
    • 관리형 서비스 : 설치, 패치, 백업, 복구 수행
    • 자동 백업
    • 고가용성 (Multi-AZ)
    • 보안 설정
    • 확장성 : 저장공간, 성능
    • 모니터링 : CloudWatch로 CPU, 메모리 등 모니터링 가능
    • 프리티어 제공

 

🚩 RDS PostgreSQL 세팅

1. EC2 생성

인스턴스 시작

 

 

이름, OS 이미지(운영체제) 선택

 

AMI, 인스턴스 유형 선택 (프리티어 적용)

* AMI : OS이미지 + 설정(소프트웨어, 설정 등) 패키징

* 인스턴스 유형 :  컴퓨터 스펙 (CPU, 메모리, 성능,...)

 

키 페어 설정

* 키 페어 : EC2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키. AWS는 비밀번호 대신 비공개 키 파일(.pem)로 접속

 

스토리지 구성  : 프리티어 인스턴스 용량  최대 30GB까지 사용 가능

 

2. RDS 생성

 

DB명, 사용자명, 비밀번호 등록

 

인스턴스 구성

 

스토리지 구성

 - 스토리지 자동확장 해제 : 용량 초과 시 자동으로 용량  늘려줌

연결

* VPN(Virtual Private Cloud) : 가상 네트워크 공간

* DB 서브넷 그룹: VPC 안에서 RDS가 배치될 수 있는 서브넷 묶음

* 서브넷 : IP 주소가 정해진 작은 네트워크 구역 (RDS는 최소 2개 이상의 가용영역(AZ)에 서브넷이 있어야 배포 가능

 

 

3. 생성 완료

'DB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AWS] 백업 복구 (스냅샷 + AWS DMS)  (1) 2025.06.05
[AWS] 모니터링  (0) 2025.05.29
[SQLP] 성능 튜닝 실습2: 조인 튜닝  (0) 2025.05.28
[AWS] 성능 튜닝 실습을 위한 세팅  (0) 2025.05.27
[AWS] 샘플 데이터 적재  (0) 2025.05.26

댓글